기초적인 것도 정립 안돼

정부가 제시한 AI백신 정책 결정시한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AI백신 도입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향조차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라 백신정책 결정시기를 뒤로 늦춰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정부는 지난 4월 13일 ‘AI·FMD 방역개선 대책’ 발표를 통해 6월까지 AI백신 접종 가능성과 접종방식 등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AI백신 접종효과와 접종요건, 소요비용, 발생 상황별 접종시나리오, 인체감염 위험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오는 30일 전체회의에서 백신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가닥을 잡는다는 것. 이에 농축산부는 T/F팀을 구성해 AI백신 대응방안을 마련 중에 있지만, 21일 현재까지도 AI 항원뱅크 구축시 어떤 백신주 몇 종을 구축할 것인지, 얼마만큼의 물량을 비축할 것인지, 긴급백신으로 갈 것인지, 그렇다면 접종범위와 대상축종은 어떻게 정할 것인지 등 가장 기초적인 협의조차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다.

생산자단체들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100% 방어를 보장할 수 없는데다, 백신을 접종한다손 치더라도 감염농가에 대한 살처분이 병행돼야 하는 까닭에 이렇다 할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다.

백신을 접종하는 이유는 살처분을 막기 위해서인데 백신을 접종해도 살처분이 병행된다면 굳이 백신을 접종할 이유가 없다는게 이들 주장의 근간이다.

백신 접종에 대한 장점만 부각됐을뿐 이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선 잘 알려져 있지 않다는 것도 한 이유다.

FMD백신의 경우에도 소·돼지의 유사산과 증체 지연, 목심부위 화농 발생 등 많은 부작용을 안고 있다.

AI백신도 증체량 저하나 산란율 감소, 폐사 등의 후유증이 나타날 공산이 크다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때문에 지난 21일 제1축산회관 소회의실에서 개최된 AI 백신대응 T/F팀 소그룹회의에 참석한 생산자단체장들은 “AI백신 정책에 대한 결정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AI백신과 관련해 어느 것 하나 확실하게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일정에 얽매여 ‘번갯불에 콩 구워먹기식’으로 무리한 결정을 강행할 경우 향후 가금산업이 존폐의 위기까지 몰릴 수 있는 만큼 시간을 갖고 충분한 논의를 거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