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축산선진국 금지한 유해성 증명된 비유촉진제

LG생명과학이 생산해 수출중인 착유우 성장 촉진제 부스틴의 국내 유통 논란이 국내산 우유의 안전성 문제로 번졌다.

처음 문제제기를 한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대기업 수출 때문에 농가 수요없는 젖소 성장호르몬을 억지 유통시키고 있다며 농축산부가 사용을 중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현권 의원은 지난 90년대 중반부터 몬산토와 함께 LG생명과학이 GM젖소성장호르몬을 공급해온 LG가 그동안 언론을 통해 전량 수출하고 있다고 밝힌 것과는 달리 국내에도 유통시킨 사실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김현권 의원에 따르면 GM젖소성장호르몬은 미국, EU 등이 실시한 여러 실험을 통해서도 위해성이 증명되어 서용이 금지된 약품이다. 현재 미국을 비롯해 동남아·남미 개도국 16개국을 제외한 유럽, 일본, 뉴질랜드, 호주 등 많은 나라들이 문제의 GM젖소성장호르몬을 사용하지 않는다.

국내에서도 GM젖소성장호르몬은 억지로 산유량을 늘리면서 우유공급과잉, 젖소의 체력 고갈과 유산을 부추긴다는 이유로 낙농가들이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 의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LG생명과학의 수출을 위해 사용중단 조치를 꺼려온 것이 문제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생산자단체들이 우유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을 우려해 수요가 없는 GM젖소성장호르몬 사용을 중단시켜달라고 정부에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축산당국이 LG생명과학의 수출에 차질을 우려해 관련 고시 개정을 통한 사용중단조치를 꺼려왔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농축산부는 해명자료를 통해 반박하고 나섰다.

농축산부는 LG생명과학에서 생산·판매하고 있는 소성장호르몬 제제(제품명 : 부스틴)는 국내에서 허가된 동물용의약품이며 소 성장호르몬제제의 안전성과 관련, 우유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소성장호르몬과 차이가 없고 인체에 어떠한 위해도 없다는 입장이다. 또한 부스틴과 같은 소 성장호르몬 제제는 미국, 브라질, 멕시코 등 다수의 국가에서 산유량 증대의 목적으로 사용 중인 가운데 사용을 중단한 국가는 안전성 문제가 아닌 동물보호 차원에서 제제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에서는 소 성장호르몬을 사용할 때 제기되는 문제점 등을 평가해 소비자 건강상의 위해 없이 사용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린바 있다고 밝혔다.

생산자 단체인 낙농육우협회는 이번 논란이전부터 비유촉진제 사용금지 법제화를 수차례 요청했다. 낙농육우협회에 따르면 지난 2002년 이후부터 수차례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농축산부는 국제기구(FAO/WHO식품첨가물전문위원회)에서 비유촉진제의 안전성을 인정하고 있어 법적금지 즉 동물용의약품 품목허가 취소가 어렵다는 입장만을 되풀이했다.

그러나 낙농육우협회는 농축산부의 이러한 답변이 논리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EU, 일본, 호주, 캐나다 등 대부분의 낙농선진국에서 비유촉진제 사용을 승인하지 않은 것을 주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국내 낙농가들도 수의사 처방하에 치료목적 외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금지약물이나 다름없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현장에서 쓰이지 않는 약물로 인해 우유에 대한 부정적 여론 확산과 우려에도 농축산부가 이를 수수방관하면서 논란을 확신시켰다는 입장이다. 때문에 생산자단체는 우유에 대한 부정적 여론 확산 차단을 위해 비유촉진제 사용 금지 법제화를 즉각 실시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