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GP센터 효율적 개선

 

지난해 AI 발생으로 가금류 3787만수가 살처분된 데 이어 지난 2일 또 다시 제주·전북지역에서 재발됨에 따라, 진정 기미를 보이던 계란 가격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이와 관련 농협 축산경제가 ‘계란 유통구조개선 대책’을 내놔 주목을 끌고 있다.

농협 축산유통부는 지난 13일 현재 조합에서 운영 중인 GP센터 5곳의 운영 효율을 높이고, 올해 추가로 1개소 건립(100억원 규모)을 추진하여 계란 도매유통을 활성화하고 콜드체인 유통시스템 도입을 골자로 한 ‘계란 유통구조개선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질병확산 방지와 안정적인 계란 가격·수급조절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위해 장기적으로는 GP센터를 점진적으로 늘려 2020년까지 9개소를 운영함으로써 전체 계란시장의 20%를 책임지겠다는 것이다.

정부 또한 AI 차단 방역차원에서 계란GP센터를 중심으로 유통구조를 개선할 계획을 발표하고 있어 농협의 계란유통구조 개선대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GP센터를 통한 계란유통 의무화가 조기 정착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국내 계란유통의 현행 유통구조는 보통 4단계(농가-산지 판매상-소매상-소비자)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산지 판매상이 농가 직접 방문을 통해 계란을 수집·유통하면서 AI 등 악성질병이 전파되는 등 방역관리 상 취약점에 노출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의 ‘2015년 축산물유통실태조사’에 따르면 계란 도매단계 유통비율은 GP센터가 35.7%, 식용란수집판매업체가 33.3%, 식품유통업체가 22.%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유통시스템의 문제점은 방역관리 뿐만 아니라 계란가격 결정과정에서도 나타난다. 생산자가 아닌 유통상인에 의해 계란가격이 결정되기에, 대금결제 지연과 수취가격 하락 등 농가피해가 발생하게 되며, 거래가격 왜곡으로 소비자 또한 불이익을 떠안게 된다.

따라서 해마다 발생하는 AI 발생과 계란 거래가격 왜곡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계란GP센터의 역할이 중요하다.

농협 대책의 주요 골자는 식용란 수집판매업체의 농장출입으로 계란이 유통되는 현행구조에서 계란GP센터 유통의무화를 통해 농장 출입을 차단함으로써 완전한 방역관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김태환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대표이사는 “계란GP센터 활성화를 통해 AI 등 질병확산의 불안을 해소하고, 공정한 거래가격 구조를 정착시키는 등 계란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계란GP센터는?

- 계란의 선별 및 포장이 가능한 집하장으로서, 농가들이 집란 후 별도의 운반과정을 통하여 계란GP센터 등 식용란 수집판매업체에서 집하, 선별, 포장작업을 수행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