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패턴 맞춰 고급·대중화 일부에서 지속적으로 제기

 

한우산업의 안정적 사육기반 유지와 자급률 하락을 막기 위해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대중소비형 한우 고기를 생산해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한우 생산농가들은 이미 고급화와 대중화 양방향으로의 시장 확대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목표자급률 설정, 비거세우 및 미경산우 시장 활성화 방안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앞으로 어떻게 얼마나 생산할 것인가가 관건이다. 생산자들은 계획적인 생산을 통해 대중소비형 한우를 공급해야 하며 이는 정부가 적정 사육마릿수를 설정해 이끌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난 12일 열린 한육우수급조절협의회에서 김홍길 회장은 “한우 자급율이 37%까지 떨어진 상황에서 더 이상의 소비시장을 수입육에 잃지 않기 위해서는 투트랙 전략이 절실하다”면서 “생산 목표를 정해 계획생산을 하고 수입육과 경쟁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한우산업이 수입육과 맞서기 위해 고급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집중해 온 가운데 국내 소고기 시장에서 한우가 민족 산업으로 자리매김했지만 시장의 다변화와 물밀 듯이 밀려오는 저가 수입육 시장에서 시장을 잠식당하고 있어 새로운 돌파구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때문에 소비 시장에서 수입육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재 고급화를 통한 육질형 고기 생산에 집중된 생산채널을 육량형 고기 생산 등으로 다변화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이날 협의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대부분 이 같은 의견에 동의하면서도 한편으로 우려의 시각도 내비췄다.

제대로 된 계산 하에 계획생산을 하지 않을 경우 비거세우 장려 정책이 될 수 있으므로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 목표설정에 있어서 자급율을 고려하는 것은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지인배 한국농촌경제연구위원은 “2000년대 초반에 자급율이 50% 이상 되었을 때 오히려 한우 가격은 폭락했다”면서 “적정가격을 유지하면서 자급율을 유지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금까지 한우산업이 성장할 수 있었던 고급화와 차별화의 큰 기조를 버리고 투트랙으로 간다면 한우산업이 역행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가격상황이 좋을 때엔 비거세우 시장의 성장가능성이 있지만 가격이 낮아지게 되면 산업 전체가 가격 폭락에 위기에 처할 수도 있기 때문에 다방면을 고려해봐야 한다고 뜻을 밝혔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