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처분 최소화 피해 줄지만 접종 조류 야외 감염시

 

주기적인 고병원성 AI발생으로 백신 접종에 대한 찬반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백신을 접종할 경우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재홍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장(AI 역학조사위원장)은 지난 16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열린 한국 동물용의약품산업 발전포럼에서 ‘AI 발생과 대응-One Health 접근’ 주제 강의에서 고병원성 AI 백신 접종의 장·단점을 설명했다.

김 학장은 고병원성 백신 접종 시 가금류의 야외감염 피해 격감, 살처분 최소화, 감염 동물의 AI 바이러스 배출 감소 등이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중국이나 동남아 등 고병원성 AI 상재국의 경우 백신 접종으로 인체 감염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백신이 접종된 동물이 야외 감염 됐을 시 무증상 감염 증상에서 AI 바이러스가 체외 배출돼 부지중 확산되고 이는 상재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상재화에 따른 근절 곤란 시 유례없는 국내 인체 감염도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부연이다. 백신 접종으로 면역이 불충분할 경우 야외주 변이가 촉진될 수 있다는 설명도 이어졌다.

김 학장은 “미국 등 선진국은 특수상황에서만 조기 근절을 위해 일시적으로 백신을 접종하고, 접종 후 비발생 시 백신 접종 축을 살처분 하는 근절 정책을 펴고 있다”면서 “만약 우리나라도 백신을 도입한다면 사후관리가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학장은 그러면서 고병원성 AI의 반복적 유입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오리 및 산란계의 AI에 취약한 산업구조 개편 △AI 조기 검색 및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AI 바이러스 신속정밀 대량 검출법 개발 △야생조류·가금농장의 예찰방법 개선 및 강화 △감염·의심 농장에 대한 철저한 이동통제 △과감하고 신속한 살처분 및 철저한 사후관리 △SOP 및 관련 법규·제도 개선 △축산농가의 자율방역 의식 강화 등을 주문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