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담당 공무원 과로사

 

고병원성 AI 사태가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방역담당 공무원이 과로로 사망한 사실이 알려져 충격을 더하고 있다.

관계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경북 성주의 한 원룸에서 농정과 소속 공무원 정모 씨(40)가 숨진 채 발견됐다.

정모 씨는 AI가 발생한 뒤 매일 아침 8시에 출근해 밤 9~10시까지 근무했고, 숨지기 전날에도 대가면 농산물유통센터에서 밤 10시까지 소독업무를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방역업무뿐 아니라 연말 군청 서류작업까지 겹쳐 11월에는 42시간, 12월에는 45시간의 야간 초과근무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가축질병 발생으로 인한 사망, 사고가 매년 되풀이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010~2011년 FMD 당시에도 방역작업에 동원된 공무원 9명이 사망하는 등 안타까운 희생이 발생했다. 또한 지난 2015년 2월에는 정읍 AI 살처분 현장에 투입됐던 50대 인부가 사망했으며, 지난해 1월에는 구제역 방역초소에서 근무중이던 50대 공무원이 사망했다.

매년 겨울철마다 되풀이되는 악성가축질병 발생으로 인해 공무원들의 정신적, 육체적 피로누적과 과로사가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사망, 사고 발생이 예정된 수순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중앙에서는 지시만 하고 정작 현장에는 인력이 없어 이런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

실제 일선 지자체가 확보한 가축방역관은 적정인원의 51.4%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민주당 김현권 의원이 공개한 ‘전국 지자체 가축방역관 확보실태’에 따르면 지자체 적정 가축방역관수는 시·도 광역지자체 125명, 동물위생시험소 633명, 시·군·구 525명 등 총 1283명이다.

그러나 지자체의 가축방역관 정원은 시·도 광역지자체 77명, 동물위생시험소 429명, 시·군·구 315명 등 총 821명으로 적정인원의 64%, 실제 가축방역관수는 시·도 광역지자체 48명, 동물위생시험소 204명, 시·군·구 208명 등 총 660명으로 적정인원의 51%에 그치고 있다.

게다가 현장에서 직접 뛰는 지자체의 방역업무는 강도가 세고 어려운 것으로 악명이 높다. 더구나 FMD와 AI 등 재난형 질병 발생 증가로 비상근무가 최대 9개월까지 장기화되는 등 다른 직렬 공무원에 비해 근무여건이 열악해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인력충원을 위한 예산확보와 함께 인센티브 제공을 비롯한 방역공무원의 처우개선 등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관련기사 9면>

이와 함께 인체감염 고위험군에 속하는 살처분인력에 대한 관리를 보다 체계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전북 부안과 경남 사천의 야생조류 분변에서 현재 확산중인 H5N6형과 다른 유형인 H7N2형과 H7N7형 바이러스가 각각 검출됐기 때문.

H7형 바이러스는 가금류에서는 폐사를 유발하진 않지만 사람에게는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중 H7N9형은 중국 등지에서 452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돼 축산농가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H7N9형은 아직까지 국내 발생이 확인되진 않았지만, 중국에서 야생조류를 통해 AI가 유입된 정황과 지금도 철새가 들어오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앞으로 국내 유입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는 상황이다.

또한 현재 살처분을 진행하고 있는 작업자의 절반 이상이 외국인 근로자들로서 인체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과 절차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어 최악의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민주당 김현권 의원 역시 “현재 각종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A형 독감과 AI가 연관관계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인체를 매개로 한 새로운 독감 바이러스의 출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인체감염 차단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주장해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